본문 바로가기

건강/건강상식

골다공증의 정의 및 예방과 대책


◉ 정의 : 뼈의 성분 변화없이 단위 용적내 골량을 감소시켜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킬 수 있게 하는 질환. 원인에 관계없이 정상치에 비하여 골량이 감소되어 있는 상태를 골감소증이라 하며 이중 특히 골소실이 많아 골절이 위험이 있는 정도일 때를 골다공증이라 한다.

◉ 증상 : 전신이 쑤시고 아프며, 척추골, 요골, 대퇴골, 늑골 등에 골절이 있을 수 있다.

특히 여성의 갱년기 골다공증은 척추골에 잘 오는데 목이 뻣뻣하고 상반신의 통증과 요통이 심해져 활동이 어려워지면 흉강과 복강이 줄어들어 호흡이 불편하게 되며 배가 나온다. 기타 잇몸의 뼈 약화로 치아손실이 오고 손목뼈도 쉽게 부러진다. 척추가 굽거나 키가 작아질 수도 있다.

◉ 위험인자 : 고령의 여자/ 백인/ 키가 작은 사람/ 활동량이 적은 사람/ 음주, 흡연, 카페인 섭취가 많은 사람/ 칼슘, 단백질, 비타민 섭취가 부족한 사람/ 폐경이나 양쪽 난소를 절제한 여성/ 부신피질호르몬을 남용한 사람/ 갑상선 기능항진증이나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인 사람

◉ 치료 : 충분한 칼슘이나 비타민, 단백질의 섭취와 규칙적 운동, 에스트로겐 호르몬 보 충 등